파라미터 유효성 검증에 대한 코드 리팩토링 과정을 설명한다. 파라미터 유효성 규칙 추가처음에 유효성 검증을 위해 회원가입 컨트롤러에서 CreateMemberRequest DTO를 받아서 회원가입 로직을 처리하고. 앞에 @Validated를 붙이고 DTO 필드에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필드마다 유효성 규칙을 추가하였다. 파라미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하였다. 위 방식의 문제는 유효성 규칙을 통과 못했을때 응답하는 messgae가 너무 정형화 되지않은 형식으로 된다. 사용자한테 아래 메시지대로 보여주면 이해하지 못하므로 필요한 메시지를 정형화 시켜야 된다. BindingResult 이용해서 파라미터 유효성 에러 메시지 정형화메시지를 정형화 되도록 하기 위해서 첫째로 BindingResult를 쓰는 방법이 있..
자바 11 -> 17업그레이드와 스프링시큐리티 5버전에서 6버전에서 업그레이드 하고나서 발생한 error와 warning을 수정한 과정이다. 업그레이드 하고 나서 security 설정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에러를 수정하였다.SecurityConfiguration 수정 cors() 메서드 들어가서 documentation에 들어가서 삭제된 이유를 확인해보니 공식문서에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있었다. 단순하게 이해해서 이전 방식(메서드 체이닝)이 가독성이 안좋기도 하고 람다 방식과 메서드 체이닝 방식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한다는 뜻 같았다. 그래서 메서드 체이닝 방식을 완전히 삭제 한 것 같다. 그래서 아래처럼 메서드 체이닝 방식을 모두 람다식으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cors.disable()..